본문 바로가기
경제 정보

어디선가 새는 돈, 원인은 다 나때문이였다.

by 대박소식 2025. 3. 19.
반응형

어디선가 새는 돈, 원인은 다 나때문이였다.

"이번 달 카드값이 왜 이렇게 많이 나왔지?"

이런 표현해도 될지 모르겠지만 월급날이 되면 약간 조울증에 걸린 것 같다. 한없이 기뻤다가도 순식간에 침울해진다. 이게 다 통장 잔고 때문이다. 분명 그렇게 호화로운 생활을 하지 않았는데 통장 잔고는 예상보다 빠르게 줄어든다. 어디서부터 잘못된 걸까? 혹시 누가 나 몰래 카드를 사용한건 아닌가 싶어 그간 사용 내역을 보면 진짜 다 내가 쓴 거라 할말도 사라진다.

 

사실 돈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돈이 새는 곳을 모르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무심코 사는 커피 한 잔, 필요 이상으로 구독 중인 서비스, 할인이라는 말에 혹해서 구매한 충동적인 소비들. 이런 작은 지출들이 쌓이면 연말에는 생각보다 큰돈이 빠져나간다는거다. 성공한 사람의 인터뷰를 보면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미 그 서비스가 있기 전부터 잘만 살았는데 굳이 필요 없기 때문이라는거다. (하물며 페이커도 유튜브 프리미엄을 안쓴다는 이야기도 있다.) 

어떻게 하면 소비 패턴을 분석하고,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며 절약하는 습관을 기를 수 있을까?하나씩 살펴보자.

 

 

 

 

 

 


1. 내 소비 패턴 체크부터 하자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소비 패턴을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정작 세부적으로 분석해보면 예상과 다른 경우가 많다. 그냥 대충 알 뿐 자세히 아는게 아니라는거다.

빈 종이를 꺼내 아래 3가지를 쭉 적어보자.

  1. 소비 내역을 기록해본다 – 한 달 동안 모든 지출을 기록하고 카테고리별로 정리한다.
  2. 고정지출과 변동지출을 구분한다 – 꼭 필요한 비용과 선택적 소비를 구별하는 것이 핵심이다.
  3. 불필요한 지출을 찾아낸다 – 사용하지 않는 구독 서비스, 과한 외식비, 충동 구매 항목 등을 체크한다.

 

 

 

 


2. 돈이 새는 구멍 찾기

지출을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불필요한 지출을 없애는 것"이란건 다들 알 것이다. 그런데 아무리 되돌아봐도 필요하지 않았던 건 하나도 없다는 착각에 빠지기 쉽다. 소비 패턴을 분석하다 보면 예상하지 못한 ‘돈 새는 구멍’이 보인다

구독 서비스 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 음원 스트리밍, OTT 플랫폼 등. 모든 서비스를 꼭 써야만 하는가?
외식비 & 커피값 하루 커피값 5천 원 X 30일 = 15만 원. 1년이면 180만 원.
기본 외식비 인당 2만 원 X 20일 = 40만 원. 1년이면 480만 원
소액 결제 & 자동 이체 은행 어플에 들어가 나도 모르게 자동이체 되고 있던 건 없는지 확인해보자.
단체 후원금이나 정당 후원비 등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 돈이 빠져나가고 있을지도 모른다.
충동 구매 박영진이 그랬다. "사장님이 미쳤어요 90% 세일!"은
사장님은 안미쳤다. 네가 그 물건을 살 확률이 90%라는 것이다.

 

 


3. 돈이 남는 사람이 갖고 있는 습관

절약을 하라고 하는게 단순히 소비를 줄이라는게 아니다.
돈을 더 가치 있게 쓰는 습관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4. 절약을 ‘즐겁게’ 게임처럼 목표를 잡자.

절약은 스트레스가 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게임처럼 목표를 설정하고, 성취감을 느끼며 즐길 수 있어야 지속 가능하다.

예시)

"한 달에 10만 원 덜 쓰기 챌린지" – 목표를 세우고, 성공하면 스스로 보상을 준다.

"노 쇼핑 데이" – 일주일에 하루는 아무것도 사지 않는 날을 만들어보자.

"세일 때만 쇼핑하기" – 꼭 필요한 물건을 정리해 두었다가 세일 기간에만 구매하는 습관 만들기.

"절약한 돈을 가시화하기" – 매달 절약한 금액을 눈에 보이게 적어두면 동기부여가 된다.

 


결국, 똑똑한 소비 = 가장 좋은 절약 습관

아무리 억만장자가 된다고 할지라도 소비 습관이 바뀌지 않으면, 돈이 많아져도 부족한 건 마찬가지다.

돈을 아낀다는 건 단순히 ‘덜 쓰는 것’이 아니다. 필요한 곳에 제대로 쓰고,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며, 미래를 위한 선택을 하자는 것이다. 소비 패턴을 다시 한번 돌아보고, 돈이 남는 사람이 되는 습관을 만들어보자.

 

 

핵심 5줄 요약

  1. 소비 패턴을 정확히 파악하고, 돈이 새는 곳을 찾는다.
  2. 불필요한 지출을 없애고, 고정비부터 절약하는 방법을 고민한다.
  3. 예산을 설정하고, 현명한 소비 습관을 만든다.
  4. 절약을 게임처럼 재미있게 실천한다.
  5. 결국, 돈을 쓰지 않는 것이 아니라 ‘잘 쓰는 것’이 중요하다.

 

반응형